4 분 소요

하이퍼 파라미터란?

Parameter(매개변수)는 모델 내부에서 데이터로부터 결정되는 변수이다.

  • MLM(Machine Learning Mastery)에서 기술한 하이퍼 파라미터는 모델링할 때 직접 세팅해주는 값이라고 말한다. 이는 모델 학습에 나오는 learning rate나 SVM의 C, sigma, KNN의 K값 등등 모델을 세팅할 때 우리가 설정하는 값을 설명한다. 흔히 많은 사람들이 모델 설계를 할 때 값을 조정하는 것을 “하이퍼 파라미터를 조정한다.”라고 말한다.

최적의 하이퍼 파라미터 찾기

Research

모델을 튜닝하는 방법에는 다양한 방법이 존재한다. 그 중 직접 튜닝하는 방법은 여러가지 지식또는 기법을 통해서 개발자가 비교하면서 찾는 방법으로 가장 기초적인 방식이다.

검증을 목표로 하는 하이퍼 파라미터의 범위 내에서 모든 조합에 대해 모델을 학습하고, 그 중 가장 좋은 metric 조합을 선택한다.

시간적인 여유가 있다면 굉장히 좋겠지만, 조합의 수가 굉장히 많아서 비효율적이다.

검증을 목표로 하는 하이퍼 파라미터의 범위 내에서 랜덤하게 조합을 선택하여, 그 중 가장 좋은 metric 조합을 선택하는 것이다.

탐색 횟수를 지정해주기에 하이퍼 파라미터 수가 많고 범위가 넓더라도 탐색이 가능하다.

랜덤하게 선택하기 때문에 이상적인 조합을 찾기가 쉽지 않다.

검증을 목표로 하는 하이퍼 파라미터의 범위 내에서 이전 조합중 가장 성능이 잘 나온 조합을 중심으로 탐색하고 선택하여, 그 중 가장 좋은 metric 조합을 선택하는 것이다.

위 2가지 탐색기법중에서 가장 똑똑하고 효율적으로 하이퍼 파라미터 조합을 찾을 수 이;ㅆ다.

Grid Search 간단하게 구현해보기

from category_encoders import OrdinalEncoder
from sklearn.impute import SimpleImputer
from xgboost import XGBClassifier
from sklearn.pipeline import make_pipeline

# 간단하게 파이프라인을 형성해준다.

pipe = make_pipeline(
    OrdinalEncoder(),
    SimpleImputer(strategy="median"),
    XGBClassifier(
        objective="binary:logistic",
        eval_metric="error",
        n_estimators=200,
        random_state=42,
        n_jobs=-1,
        learning_rate=0.1,
        use_label_encoder=False,
    ),
)

params = {
    "xgbclassifier__max_depth": [2, 4, 6],
    "xgbclassifier__min_child_weight": [2, 4, 8],
    "xgbclassifier__colsample_bytree": [0.6, 0.8, 1.0],
}

from sklearn.model_selection import GridSearchCV
# Sklearn의 GridSearchCV를 활용한다. 

grid_search = GridSearchCV(pipe, param_grid=params, scoring="roc_auc", cv=3, verbose=3)
# 위의 지정해준 파라미터를 기준으로 Grid Search를 시작한다.

grid_search.fit(X_train, y_train)

결과 확인하기

print("최적의 하이퍼파라미터: ", grid_search.best_params_)
print("최적의 AUC: ", grid_search.best_score_)

최적의 하이퍼 파라미터 조합 순위로 확인하기

pd.DataFrame(grid_search.cv_results_).sort_values(by="rank_test_score").T
from hyperopt import hp

params = {
    "simpleimputer__strategy": hp.choice("strategy", ["median", "mean"]),
    "xgbclassifier__max_depth": hp.quniform("max_depth", 2, 10, 2),
    "xgbclassifier__min_child_weight": hp.quniform("min_child_weight", 2, 10, 2),
    "xgbclassifier__colsample_bytree": hp.uniform("colsample_bytree", 0.5, 1.0),
}

from hyperopt import fmin, tpe, Trials, STATUS_OK
from sklearn.model_selection import cross_val_score
import numpy as np

def fit_eval(params):
  pipe = get_pipe(params)
  score = cross_val_score(pipe, X_train, y_train, cv = 3, scoring = "roc_auc")

  return {"loss" : - avg_cv_score, "status" : STARUS_OK}
  # rou_auc 값이 클ㄹ수록 좋은 metric이므로, hyperopt.fmin이 rou_auc 최대화도록 하기 위해 -부호를 붙여 반환한다.


trials = (Trials())

best_params = fmin(fn = fit_and_eval, trials = trials, space = params, algo = tpe.suggest, max_evals = 10)

모든 trial 정보 출력하기

trials.trials

교차 검증이란?

학습 시킨 모델을 검증 데이터를 사용하는 방식을 통해서 검증하는 것을 의미한다.

  • 우리는 흔히 모델을 학습 시킨 이후에 2가지로 나눠서 모델의 성능을 측정하게 된다.
    • 학습 데이터 (Train)
    • 시험 데이터 (Test)
  • 위의 방식으로 측정을 하게 되도 무관하나, 시험 데이터에 과적합을 하게 되거나 실 데이터를 가져와서 원하는 결과를 가지고 오지 못할 가능성이 있다.

그래서 교차 검증을 통해서 3가지로 나눠서 검증을 한다.

  • 학습 데이터 (Train)
  • 검증 데이터 (Validation)
  • 시험 데이터 (Test)

교차 검증의 장단점

  1. 장점
    • 데이터의 활용도 증가
      • 성능향상으로 이어진다.
    • 과적합
      • 데이터를 나눠서 사용하게 되기에 시험 데이터에 과적합되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2. 단점
    • 학습 시간 증가
      • iteration 증가로 인해서 시간이 오래 걸릴 가능성이 있다.

Feature Selection

모델의 분류 정확도를 향상시키기 위해, 원본 데이터에서 가장 좋은 성능을 보여줄 수 있는 데이터의 부분집합 (Subset)을 찾는 방법이다.

결론적으로 특성 중에서 훈련에 가장 유용한 특성을 선택하는 것을 말한다.

특성 중요도 기반 특성 선택

  1. Check Score
# AUC 점수를 체크한다.
print("Validation AUC: ", pipe.score(X_val, y_val))
  1. Feature Selection
# 특성 중요도를 시각화하여 특성 중요도가 낮은 몇몇 특성들을 확인한다.
import matplotlib.pyplot as plt

feature_importances = list(
    zip(X_train.columns, pipe.named_steps["xgbclassifier"].feature_importances_)
)
feature_importances = sorted(feature_importances, key=lambda x: x[1], reverse=True)

plt.figure(figsize=(10, 10), dpi=120)
plt.barh(*list(zip(*feature_importances[::-1])))
plt.axvline(0.015, color="red", linewidth=0.5)
  1. Feature Drop 불필요한 특성들은 오히려 학습에 방해가 되므로 제외하고 재학습을 진행해준다.
features_selected = list(filter(lambda x: x[1] >= 0.015, feature_importances))

# 0.015 중요도 미만의 값들을 선택해준다.

selected_feature_names = list(map(lambda x: x[0], features_selected))
  1. re-Check Score
X_train_selected = X_train[selected_feature_names]
X_val_selected = X_val[selected_feature_names]

pipe.fit(X_train_selected, y_train)
print("Validation AUC: ", pipe.score(X_val_selected, y_val))

통계 기반 특성 선택

  1. 피어슨 상관계수

    공분사산 / 표준편차의 제곱으로, 등간척도(간격척도)나 비례척도(비율척도)의 데이터에서 두 변수의 공분산(Covariance)을 각각의 표준 편차의 곱으로 나눈 값이다.

  • 표준 피어슨의 상관계수 r 로부터 표본 결정계수 r^2을 얻을 수 있다.
  • 모집단 피어슨의 상관계수 p 로부터 모집단 결정계수 p^2을 얻을 수 있다.
  • numpy로 간단하게 구할 수 있다.

x = np.random.normal(0, 5, 1000)
y = x**3 + np.random.normal(0, 1, 1000)

# 두 특성이 선형 관계는 아니지만 단조 관계일 때를 확인

plt.plot(x, y, ".")

print("Pearson Corrcoef:", np.corrcoef(x, y)[0, 1])
print("Spearman Corrcoef:", spearmanr(x, y))
  1. 스피어만 상관계수

    두 변수의 순위 사이의 통계적 의존성을 측정하는 비모수적인 척도이다.

  • 두 변수 간의 스피어만 상관 계수는 두 변수의 순위 값 사이의 피어슨 상관 계수와 같다.
  • Scipy로 간단하게 구할 수 있다.
from scipy.stats import spearmanr

x = np.random.normal(0, 5, 1000)
y = 4 * x + 7 + np.random.normal(0, 1, 1000)

# 두 특성이 선형 관계일 때 pearson, spearman corrcoef 값을 확인

plt.plot(x, y, ".")

print("Pearson Corrcoef:", np.corrcoef(x, y)[0, 1])
print("Spearman Corrcoef:", spearmanr(x, y))

Sklearn의 특성 선택 라이브러리

sklearn.feature_selection.SelectKBest

통계량 옵션 선택

  • Classification Options
    1. f_calssif
    2. mutual_info_classif
    3. chi2
  • Regression Options
    1. f_regression
    2. mutual_info_regression

Sklearn Regression 문제 특성 선택

위에서

from category_encoders import OneHotEncoder

enc = OrdinalEncoder()
imp = SimpleImputer()

X_train_encoded = enc.fit_transform(X_train)
X_train_imputed = imp.fit_transform(X_train_encoded)

X_val_encoded = enc.transform(X_val)
X_val_imputed = imp.transform(X_val_encoded)
# 회귀 문제이므로 간단하게 원-핫 인코딩을 진행해준다.

from sklearn.feature_selection import SelectKBest, mutual_info_classif
# 위에서 언급한 Sklearn의 SelectKBest와 mutual_info_classif 를 사용해서 간단하게 문제의 특성을 선택해준다.

selector = SelectKBest(score_func=mutual_info_classif, k=6)
X_train_selected = selector.fit_transform(X_train_imputed, y_train)
X_val_selected = selector.transform(X_val_imputed)


print("Feature Selection: ", X_train_encoded.columns[selector.get_support()].tolist())